본문 바로가기
Information

2025년 7월 국민연금 보험료 인상! 내 월급에서 얼마나 더 빠질까?

by Hibear 2025. 6. 29.
반응형

 

7월부터 내 월급에서 국민연금 보험료가 더 빠져나간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직장인 최대 9,000원, 지역가입자 최대 18,000원까지 증가합니다.


1. 📌 7월부터 뭐가 달라지나요?

보건복지부와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, 2025년 7월 1일부터 기준소득월액 상한과 하한이 다음과 같이 조정됩니다:

  • 상한: 6,170,000원 → 6,370,000원
  • 하한: 390,000원 → 400,000원

이를 통해 월 최대 보험료는 18,000원 인상, 직장인은 절반인 9,000원만 부담하면 됩니다 


2. 누가 얼마나 더 내나요?

가입 유형월 최대 인상액본인 부담
직장가입자 18,000원 9,000원
지역가입자 18,000원 전액 부담  
 

저소득 가입자의 경우, 하한 조정에 따라 월 900원 인상됩니다


3. 월급별 인상 사례 정리

  • 월급 300만 원 직장인
    → 2024년: 270,000원 → 2025년: 변동 없음
  • 월급 630만 원 직장인
    → 2024년: 617만 원 상한 기준 → 555,300원
    → 2025년: 실제 소득 반영 → 573,300원 → +18,000원, 본인 부담 9,000원 증가
  • 월급 390,000원 이하 가입자
    → 2024년: 35,100원 → 2025년: 36,000원 → +900원

 

4. 월급별 소득별 실제 계산 예시

💼 예시 ① 월급 200,000원 (극저소득)

  • 실제 소득이 하한(400,000원)보다 낮음
  • → 기준소득월액은 자동으로 400,000원 적용
  • → 보험료 = 400,000 × 9% = 36,000원
  • → 본인 부담 = 18,000원

소득이 아무리 낮아도 최소 18,000원은 내야 함


💼 예시 ② 월급 400,000원 (하한과 같음)

  • 기준소득월액 = 400,000원
  • → 보험료 = 400,000 × 9% = 36,000원
  • → 본인 부담 = 18,000원

최저 보험료 구간


💼 예시 ③ 월급 1,500,000원 (중간소득)

  • 기준소득월액 = 1,500,000원
  • → 보험료 = 1,500,000 × 9% = 135,000원
  • → 본인 부담 = 67,500원

변동 없음 (상·하한 사이이므로 소득 그대로 계산)


💼 예시 ④ 월급 6,000,000원 (고소득)

  • 기준소득월액 = 6,000,000원
  • → 보험료 = 6,000,000 × 9% = 540,000원
  • → 본인 부담 = 270,000원

2025년 기준 상한 안에 있으므로 실제 소득 기준 그대로 적용됨


💼 예시 ⑤ 월급 7,000,000원 (초고소득)

  • 기준소득월액 = 6,370,000원으로 고정 (상한 적용)
  • → 보험료 = 6,370,000 × 9% = 573,300원
  • → 본인 부담 = 286,650원

실제 월급이 상한보다 많아도 계산은 상한까지만


5.  2024년 vs 2025년 차이 예시 (상한 영향)

월급2024년 기준 (상한: 6,170,000)2025년 기준 (상한: 6,370,000)차이
6,500,000 보험료 = 6,170,000 × 9% = 555,300원 보험료 = 6,370,000 × 9% = 573,300원 +18,000원
본인 부담 277,650원 286,650원 +9,000원
 

6. 결론 요약

소득기준소득 적용보험료 변화이유
20만 원 400,000원 무조건 최소 보험료 하한 적용
300만 원 300만 원 변화 없음 기준 사이
400만 원 400만 원 변화 없음 기준 사이
630만 원 630만 원 인상됨 상한 상향으로 더 많은 소득 반영
700만 원 6,370,000원 인상됨 상한선이 올라감

7.  꼭 확인하세요 – 내 보험료 직접 계산하기

👉 국민연금 보험료 계산기 (공식)


소득 및 가입 유형 입력만으로 기존 납부액 vs 변경 후 납부액을 바로 비교할 수 있습니다.
또한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개정안 안내문도 확인하세요.


8. 💡 FAQ – 자주 묻는 질문 정리

Q. 소득이 낮아도 보험료 오르나요?
A. 하한선 조정으로 인해, 월 소득 400,000원 미만 구간 가입자도 최대 900원 인상됩니다 

 

Q.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 차이는?
A. 직장가입자는 인상액의 절반만 부담하지만, 지역가입자는 전액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책임이 더 큽니다 

 

Q. 언제부터 적용되나요?
A. 2025년 7월 1일 ~ 2026년 6월 30일, 1년간 적용됩니다


9. ✅ 결론 & CTA

국민연금은 사회보장제도의 핵심입니다.
소득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보험료, 사전 확인미리 준비가 무엇보다 중요하죠.

 

 

10. 주요 언론 기사

다음은 활용하기 좋은 언론 매체 목록입니다. 각 기사에 대한 소개와 함께 링크를 배치하면 방문자의 신뢰도와 체류 시간 상승에도 도움이 됩니다.

 

조선일보 – “7월부터 국민연금 보험료 오른다…月 최대 1만8000원”

 

 

연합뉴스TV / 연합뉴스 – “7월부터 국민연금 보험료 인상…누가 얼마나 더 낼까”

 

경기일보 – “국민연금 보험료, 내달부터 월 최대 1만8천원 인상” 

 

미주중앙일보(코리아데일리) – “7월부터 오르는 국민연금 보험료…누가 얼마나 더 내나” 

 

뉴데일리(비즈) – “7월1일부터 월급 봉투 더 얇아진다 … 국민연금 보험료 최대 1.8만 올라”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