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월부터 내 월급에서 국민연금 보험료가 더 빠져나간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직장인 최대 9,000원, 지역가입자 최대 18,000원까지 증가합니다.
1. 📌 7월부터 뭐가 달라지나요?
보건복지부와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, 2025년 7월 1일부터 기준소득월액 상한과 하한이 다음과 같이 조정됩니다:
- 상한: 6,170,000원 → 6,370,000원
- 하한: 390,000원 → 400,000원
이를 통해 월 최대 보험료는 18,000원 인상, 직장인은 절반인 9,000원만 부담하면 됩니다
2. 누가 얼마나 더 내나요?
직장가입자 | 18,000원 | 9,000원 ↑ |
지역가입자 | 18,000원 전액 부담 |
저소득 가입자의 경우, 하한 조정에 따라 월 900원 인상됩니다
3. 월급별 인상 사례 정리
- 월급 300만 원 직장인
→ 2024년: 270,000원 → 2025년: 변동 없음 - 월급 630만 원 직장인
→ 2024년: 617만 원 상한 기준 → 555,300원
→ 2025년: 실제 소득 반영 → 573,300원 → +18,000원, 본인 부담 9,000원 증가 - 월급 390,000원 이하 가입자
→ 2024년: 35,100원 → 2025년: 36,000원 → +900원 인
4. 월급별 소득별 실제 계산 예시
💼 예시 ① 월급 200,000원 (극저소득)
- 실제 소득이 하한(400,000원)보다 낮음
- → 기준소득월액은 자동으로 400,000원 적용
- → 보험료 = 400,000 × 9% = 36,000원
- → 본인 부담 = 18,000원
✅ 소득이 아무리 낮아도 최소 18,000원은 내야 함
💼 예시 ② 월급 400,000원 (하한과 같음)
- 기준소득월액 = 400,000원
- → 보험료 = 400,000 × 9% = 36,000원
- → 본인 부담 = 18,000원
✅ 최저 보험료 구간
💼 예시 ③ 월급 1,500,000원 (중간소득)
- 기준소득월액 = 1,500,000원
- → 보험료 = 1,500,000 × 9% = 135,000원
- → 본인 부담 = 67,500원
✅ 변동 없음 (상·하한 사이이므로 소득 그대로 계산)
💼 예시 ④ 월급 6,000,000원 (고소득)
- 기준소득월액 = 6,000,000원
- → 보험료 = 6,000,000 × 9% = 540,000원
- → 본인 부담 = 270,000원
✅ 2025년 기준 상한 안에 있으므로 실제 소득 기준 그대로 적용됨
💼 예시 ⑤ 월급 7,000,000원 (초고소득)
- 기준소득월액 = 6,370,000원으로 고정 (상한 적용)
- → 보험료 = 6,370,000 × 9% = 573,300원
- → 본인 부담 = 286,650원
✅ 실제 월급이 상한보다 많아도 계산은 상한까지만
5. 2024년 vs 2025년 차이 예시 (상한 영향)
6,500,000 | 보험료 = 6,170,000 × 9% = 555,300원 | 보험료 = 6,370,000 × 9% = 573,300원 | +18,000원 |
본인 부담 | 277,650원 | 286,650원 | +9,000원 |
6. 결론 요약
20만 원 | 400,000원 | 무조건 최소 보험료 | 하한 적용 |
300만 원 | 300만 원 | 변화 없음 | 기준 사이 |
400만 원 | 400만 원 | 변화 없음 | 기준 사이 |
630만 원 | 630만 원 | 인상됨 | 상한 상향으로 더 많은 소득 반영 |
700만 원 | 6,370,000원 | 인상됨 | 상한선이 올라감 |
7. 꼭 확인하세요 – 내 보험료 직접 계산하기
소득 및 가입 유형 입력만으로 기존 납부액 vs 변경 후 납부액을 바로 비교할 수 있습니다.
또한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개정안 안내문도 확인하세요.
8. 💡 FAQ – 자주 묻는 질문 정리
Q. 소득이 낮아도 보험료 오르나요?
A. 하한선 조정으로 인해, 월 소득 400,000원 미만 구간 가입자도 최대 900원 인상됩니다
Q.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 차이는?
A. 직장가입자는 인상액의 절반만 부담하지만, 지역가입자는 전액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책임이 더 큽니다
Q. 언제부터 적용되나요?
A. 2025년 7월 1일 ~ 2026년 6월 30일, 1년간 적용됩니다
9. ✅ 결론 & CTA
국민연금은 사회보장제도의 핵심입니다.
소득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보험료, 사전 확인과 미리 준비가 무엇보다 중요하죠.
10. 주요 언론 기사
다음은 활용하기 좋은 언론 매체 목록입니다. 각 기사에 대한 소개와 함께 링크를 배치하면 방문자의 신뢰도와 체류 시간 상승에도 도움이 됩니다.
조선일보 – “7월부터 국민연금 보험료 오른다…月 최대 1만8000원”
연합뉴스TV / 연합뉴스 – “7월부터 국민연금 보험료 인상…누가 얼마나 더 낼까”
경기일보 – “국민연금 보험료, 내달부터 월 최대 1만8천원 인상”
미주중앙일보(코리아데일리) – “7월부터 오르는 국민연금 보험료…누가 얼마나 더 내나”
'Informa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 헬스장 소득공제 완벽 가이드 – 기준, 신청방법, 공제액까지 (0) | 2025.07.02 |
---|---|
러브버그 퇴치법 총정리 – 집에서 간단하게 없애는 7가지 방법 (1) | 2025.06.29 |
서울 아파트 대출 규제 완벽 해부: 주담대 6억 한도, 실수요자 대응 전략 (2) | 2025.06.29 |
SC제일은행 금융사고 130억 원대 발생! 원인·피해 유형 총정리와 재발 방지 전략까지 (0) | 2025.06.25 |
중장년 경력지원제 정리 2025최신 – 자격, 신청, 꿀팁 총정리 (2) | 2025.06.25 |